본문 바로가기
Book

[리뷰]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읽고나서

by kkkdh 2023. 8. 27.
728x90

들어가면서..

지난 1주일 동안에는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책을 읽으며 Spring Boot, Spring Data JPA, MariaDB부터 시작해 AWS의 다양한 서비스까지 활용해 보는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 repository와 함께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https://github.com/rkdehdgns1230/springboot2-webservice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이 책을 읽게 된 이유는 백 엔드 개발자의 길을 시작하며, 3개월간 짧게 경험한 실무 개발 과정 동안 단순히 Spring을 잘 활용하는 것을 넘어 인프라, DB까지도 잘 다룰 수 있어야 하는 것이 백 엔드 분야의 필수 역량이라고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별도로 AWS와 관련된 공부를 하고는 있지만, 이 책을 한 번 따라 하며 빌드 및 배포 과정과 이를 자동화하는 경험을 통해 많이 배울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실제로도 짧은 시간 동안 빠르게 전 과정을 경험해 볼 수 있었습니다.

 


내가 생각하는 이 책의 장점

이전에도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NCP에서 서버를 대여해 직접 빌드해서 jar 파일을 배포하고, 방화벽 설정을 한다던가 하는 경험을 했었는데 이번에는 책과 함께하니 길잡이가 하나하나 자세히 알려주는 것 같은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덕분에 전체 과정을 이전보다 훨씬 쉽게 경험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역량으로 인해 삽질을 꽤나 하기는 했습니다..)

 

이런 구조의 웹 서비스를 책만 따라가면 만들 수 있게 됩니다!!

그렇기에, 저와 비슷하게 백 엔드 개발자를 지망하고 이제 시작하고 있으신 분들에게는 전체 과정을 경험하며 내가 모르고 부족한 영역에 대해서 알게 될 수 있는 아주 좋은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약하자면

  • 개발 과정을 넘어 인프라 환경을 세팅하고, 빌드 및 배포 자동화 과정을 빠른 시간에 경험해 볼 수 있다!
  • 전체 과정을 따라 하면서, 부족한 부분을 배울 수 있다!
  • 혼자 했을 때는 엄청난 삽질들이 뒤따르는 작업들을 엄청나게 시간 단축해 준다!

정도를 장점이라고 느꼈습니다.


단점을 굳이 꼽자면..?

아무래도 2019년에 출간된 책이다 보니 지금 시점에서 주로 사용하는 버전들과 일치하지 않는 툴들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것들도 하나씩 찾아보며 삽질을 하는 게 오히려 실력을 기르는데 더 좋지 않을까..? 싶기는 합니다.

 

다른 분들이 겪은 다양한 문제들의 기록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고 걱정할 필요는 없는 게, 다음 repository의 issue 탭을 확인하면, 저자인 이동욱 님과 책을 읽었거나 읽고 계신 분들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겪은 문제 상황들을 공유한 기록들을 참고할 수 있어 대부분의 해답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이왕이면, 에러를 직접 확인하며 해결하면 실력 향상에 더 좋지 않을까요??)

 

https://github.com/jojoldu/freelec-springboot2-webservice

 

GitHub - jojoldu/freelec-springboot2-webservice

Contribute to jojoldu/freelec-springboot2-webservic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마무리하며..

대략 일주일이 조금 넘는 기간 동안에 걸쳐 책을 공부하며, 자세한 가이드와 함께 다양한 툴을 사용해 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책의 모든 내용을 당연하게도 다 제 것으로 만들지는 못한 것 같지만, 이번 책에서는 이 것들에 입문하는 것으로 만족하고 앞으로 공부하며 세부적인 개념을 공부해볼까 싶습니다..!

 

 

다음에는 다른 개발 서적을 읽고 정리 겸 후기 글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