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c++20

BOJ - 23291번 어항 정리 문제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3291 23291번: 어항 정리 마법사 상어는 그동안 배운 마법을 이용해 어항을 정리하려고 한다. 어항은 정육면체 모양이고, 한 변의 길이는 모두 1이다. 상어가 가지고 있는 어항은 N개이고, 가장 처음에 어항은 일렬로 바 www.acmicpc.net 이번 문제는 백준 사이트의 삼성 SW 역량 테스트 기출문제집에 있는 문제로, 구현 유형의 문제입니다. https://www.acmicpc.net/workbook/view/1152 문제집: 삼성 SW 역량 테스트 기출 문제 (baekjoon) www.acmicpc.net 저는 어항을 접어서 시뮬레이션하는 과정이 막혀, 다른 분의 풀이를 참고해서 풀이하게 되었습니다. 풀이 과정 참고 https:.. 2023. 10. 6.
BOJ - 2302번 극장 좌석 문제 (C++) dp를 이용한 풀이 회고 들어가면서.. 문제 설명을 처음 읽고, 전체 문제를 작은 단위의 문제로 쪼갠 뒤 그 결과를 조합해서 전체 문제를 해결해야겠다는 느낌은 받을 수 있었으나 아이디어가 명확하게 떠오르지는 않았습니다. https://www.acmicpc.net/problem/2302 2302번: 극장 좌석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면서 사람들이 좌석에 앉을 수 있는 방법의 가짓수를 출력한다. 방법의 가짓수는 2,000,000,000을 넘지 않는다. (2,000,000,000 < 231-1) www.acmicpc.net 그렇게 몇 번 풀이를 미루다가 오늘 이 문제를 다시 풀게 되었습니다. 다른 방식의 풀이를 보아하니 fibonacci 방식으로 수열이 이어지고, 이를 곱하는 결과로 계산을 한 풀이가 대부분이었는데, 저는 다른 방식으로 .. 2023. 8. 30.
LIS (Longgest Increaseing Subsequence)에 대해 이것 저것 정리 글을 쓰게 된 이유 이번 글은 친구의 "이 문제 LIS로 풀어야 하는 거 아니야??"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해당 문제를 보니까 2년 전에 풀이한 문제이더라고요... (그리고 LIS가 무슨 뜻인지도 까먹고 있었습니다.) 문제랑은 상관이 없는 알고리즘이었으나, LIS(가장 긴 부분 수열 구하기) 알고리즘을 다시 공부하면서 기존에 알고 있었던 dynamic programming 방식(O(N^2))과 이를 시간 복잡도 측면에서 이분 탐색을 가미해 개선한 방식(O(NlogN))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LIS가 대체 무엇인가?? 먼저 LIS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해야 될 것 같습니다. LIS는 Longgest Increasing Subsequence의 약자로,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을 의미합니다. 간단하게, 어떤 .. 2023. 8. 24.
BOJ - 2638번 치즈, BFS를 이용한 풀이 정리 이번 문제는 BFS 혹은 DFS와 같은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후 상황에 대한 시뮬레이션 과정을 구현하는 문제였습니다. 2638번: 치즈 첫째 줄에는 모눈종이의 크기를 나타내는 두 개의 정수 N, M (5 ≤ N, M ≤ 100)이 주어진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모눈종이 위의 격자에 치즈가 있는 부분은 1로 표시되고, 치즈가 없는 부분은 0으로 www.acmicpc.net 위와 같이 주어진 모눈종이에서 외부 공기와 2개의 면 이상이 닿아있는 치즈는 녹는 상황에서 치즈가 모두 녹는데 걸리는 시간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간단한 그래프 탐색 문제처럼 단순하게 순회를 해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었고, 시간의 흐름을 측정할 수 있어야 했습니다. 그 이유는 그 시간대에서 녹을 위치에 있는 치즈가 모두 .. 2023. 2. 1.
BOJ - 2792, 보석 상자 매개 변수 탐색 (이분 탐색) 이번 문제는 매개 변수 탐색(parametric search) 문제입니다. 2792번: 보석 상자 보석 공장에서 보석 상자를 유치원에 기증했다. 각각의 보석은 M가지 서로 다른 색상 중 한 색상이다. 원장 선생님은 모든 보석을 N명의 학생들에게 나누어 주려고 한다. 이때, 보석을 받지 못하 www.acmicpc.net 그동안 그냥 이분 탐색이겠거니 하고 풀이했는데, 매개 변수 탐색 문제는 이분 탐색 기법을 적용하지만 다음과 같이 약간의 개념 차이가 있었습니다. 매개 변수 탐색이란? 이진 탐색(이분 탐색)을 사용해서 조건에 만족하는 최댓값을 구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정리하면, 기존의 이분(이진) 탐색은 수열 내에서 lower-bound 또는 upper-bound로 대소 비교를 통해 찾고자 하는 수의 위치를.. 2023. 1. 3.
BOJ - 1300번, K번째 수 이분 탐색을 이용한 풀이 (C++) 이번에는 오랜만에 이분 탐색 태그가 달린 문제를 풀어봤습니다. 1300번: K번째 수 세준이는 크기가 N×N인 배열 A를 만들었다. 배열에 들어있는 수 A[i][j] = i×j 이다. 이 수를 일차원 배열 B에 넣으면 B의 크기는 N×N이 된다. B를 오름차순 정렬했을 때, B[k]를 구해보자. 배열 A와 B www.acmicpc.net 난이도가 골드 2였는데, 역시나 여러 가지 아이디어를 생각하다 다른 분의 풀이를 참고해서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풀이 과정 정리 요새 난이도가 있는 문제 풀이를 잘 안 해서 그런지 풀이를 보고 이해하는 것도 조금 어려웠던 문제입니다. 우선, 처음 문제를 봤을 때는 배열의 특징부터 뽑아 봤습니다. A 배열은 대칭 행렬 구조이다. A 배열의 대각선 상에 위치한 원소들의 값은.. 2022. 12. 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