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SQL2

SQLD 제 46회차 시험 합격 후기 지난 방학 때 백엔드 방향으로 공부를 하기로 결정하고, 여러 가지 공부를 하다가 sql을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라는 과목에서 처음 접하면서 정리했던 것이 기억나서 지금 공부한 걸로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 같은 게 있을까..?? 하다가 SQLD, SQLP라는 자격증을 알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47회 정기 시험을 접수하고 있는데, 저는 방학때 신청을 해서 9월 4일 일요일에 46회차 시험을 봤습니다. 사실 방학동안 꾸준히 공부한다고는 했는데, 이것만 공부하는 게 아니다 보니까 다른 분들처럼 2, 3주 동안 꾸준히 공부하는 게 조금 빡셌던 것 같습니다. 그래도 마지막 한 3일정도?는 빡세게 갈아 넣어서 합격 기준인 60점은 그냥 넘겨보자라는 마인드로 공부했고.. 다행히 80점이라는 나쁘지 않은 점수로 합격에 성공.. 2022. 10. 2.
[DB] DDL, DML, DCL, TCL 이란?? DB (Database)에서는 모든 작업을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구조적 질의어를 이용해 처리하는데, 이 SQL은 다루는 객체나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그 여러 가지 종류에 대해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1.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DDL은 데이터를 정의하는 언어를 의미하며, 데이터베이스에서 schema를 정의하거나 조작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명령어들을 의미합니다. CREATE (table 생성 및 정의), ALTER (테이블 구조 변경), DROP (테이블 및 칼럼 삭제), TRUNCATE (데이터 삭제) 등의 명령어가 DDL에 해당합니다. 2.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DM.. 2022. 8. 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