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스프링 개념 정리2

[Spring] 컴포넌트 스캔 컴포넌트 스캔과 의존관계 자동 주입 시작하기 지금까지 스프링 빈을 등록할 때에는 자바 코드의 @Bean이나 XML의 등을 통해 설정 정보에 직접 등록할 스프링 빈을 나열했다. 예제에서는 몇 개가 안되었지만, 실제 구현 상황에서는 이렇게 등록해야 할 스프링 빈이 수십, 수백 개가 되면 일일이 등록하기 귀찮고, 설정 정보가 커지며 누락하는 상황도 발생 그래서 스프링은 설정 정보가 없어도 자동으로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컴포넌트 스캔이라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 의존 관계를 자동으로 주입해 주는 @Autowired라는 기능도 제공한다. 코드를 통해 컴포넌트 스캔 + 의존관계 자동 주입을 알아보자. 먼저 기존의 AppConfig.java를 남겨두고, 새로운 코드인 AutoAppConfig.java를 만든다. pac.. 2023. 1. 3.
좋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정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명령어의 목록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여러 개의 독립된 단위, 즉 "객체"들의 모임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각각의 객체는 메시지를 주고받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협력)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을 유연하고 변경에 용이하게 만들기 때문에, 대규모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이 사용된다. 유연하고 변경에 용이하다는 것의 의미란? 레고 블록을 조립하듯이 키보드, 마우스를 갈아 끼우듯이 컴퓨터 부품을 갈아 끼우듯이 컴포넌트를 쉽고 유연하게 변경하면서 개발할 수 있는 방법을 말한다!! 그것이 바로 다형성을 의미한다!! 다형성의 실세계 비유 실세계와 객체 지향을 1:1로 정확하게 매칭하기에는 무리가 있음 그래도 비유를 하는 것이 .. 2022. 12. 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