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Back-end63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5. HTTP 메서드 활용 1.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의 데이터 전송 Query Parameter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GET method 사용 시 검색어 같은 정렬 필터 Message Body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POST, PUT, PATCH 회원 가입, 상품 주문, 리소스의 등록, 리소스 변경 등의 작업에 주로 사용하는 방식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4가지 예시 상황 정적 데이터 조회 이미지, 정적 텍스트 같은 데이터 동적 데이터 조회 주로 검색, 게시판 목록에서 정렬 필터(검색어) HTML Form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회원가입, 상품 주문, 데이터 변경 등의 작업 수행 HTTP API를 통한 데이터 전송 회원가입, 상품 주문, 데이터 변경 등의 작업 수행 서버 to 서버, app client, web clie.. 2022. 12. 19.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4. HTTP method HTTP 만들어보기 요구사항: 회원 정보 관리 API를 만들어보자. 사실 진짜 백엔드의 API를 설계하는 것은 아니고, 개념적으로 설계해보자는 의미이다. 기능 요구 사항 회원 목록 조회 회원 조회 회원 등록 회원 수정 회원 삭제 기능에 따른 API URI 설계 회원 목록 조회 /read-member-list 회원 조회 /read-member-by-id 회원 등록 /create-member 회원 수정 /update-member 회원 삭제 /delete-member 이게 정말 좋은 URI 설계일까? (X) API의 URI(Uniform Resouce Identifier)를 설계하면서 고민해야 할 사항들 resource의 의미? 회원 등록, 수정, 조회가 리소스가 아니다! 회원이라는 개념 자체가 바로 리소스 .. 2022. 12. 5.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3. HTTP 기본 모든 것이 HTTP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지금은 모든 것을 HTTP 메시지에 담아서 전송한다. HTML, TEXT IMAGE, 음성, 영상, 파일 JSON, XML (API)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서버 간 데이터 송수신에도 대부분 HTTP를 사용한다. (TCP만 직접 이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HTTP의 역사 HTTP/0.9 1991년: GET 메서드만 지운, HTTP header X HTTP/1.0 1996년: method, header 추가 HTTP/1.1 1997년: 가장 많이 사용 중,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버전이다. (대부분의 기능이 포함되었고, 이후 버전들은 성능 개선에 초점) RFC2068 (1997) > RFC2616.. 2022. 12. 1.
[Java] 자바 공부 - 3, 리터럴(literal)의 개념과 자료형 간단 정리 리터럴(literal) Literal은 program에서 사용하는 모든 숫자(정수, 실수), 문자, 문자열, 논리 값 등을 의미한다. (ex. 10, 3.141592, 'A', "String", true, false 등...) Literal에 해당되는 값은 특정 메모리 공간인 상수 풀(constant pool)에 위치한다. 필요한 경우 constant pool에서 가져와 사용한다. constant pool에 저장할 때에 정수는 int type, 실수는 double type으로 저장 따라서 별도로 long type이나 float type으로 저장하고 싶은 경우 식별자(L, l, F, f)를 명시해줘야 한다. 프로그램의 로딩 과정에서 사용된 literal들이 constant pool에 저장되고, 이후에 사용.. 2022. 11. 30.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2. URI와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간단히 설명하자면, resource를 식별하는 통합된 방법을 의미한다. 표준 스펙에서 정의하는 말은 다음과 같이 URI를 정의한다고 한다. "URI는 로케이터(locator), 이름(name) 또는 둘 다 추가로 분류될 수 있다." 이 말을 이해하기 이전에 URI?, URL?, URN? 얘네들의 차이점은 뭘까?? 정리하자면, URI는 자원 자체를 식별하는 방법을 의미하고 여기에는 크게 두 가지의 종류가 있다. URL (Resource Locator): 자원의 위치 URN (Resource Name): 자원의 이름 위와 같이 URL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개념으로 자원의 주소와 다양한 정보를 통해 자원을 식별하는 방식인데 반해, URN은 자원의.. 2022. 11. 29.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1. 인터넷 네트워크 인터넷 통신 만약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붙어있다면, 별문제 없이 요청과 응답을 주고받으면 될 것이다. 하지만,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굉장히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인터넷을 거쳐 통신을 해야만 한다. 이런 경우에는 인터넷 망을 통해 서버로 요청을 보내야 한다. 인터넷은 그래프 자료 구조의 노드처럼 수많은 서버와 링크들을 거쳐서 메시지가 전달되어야 한다. 복잡한 인터넷 망을 어떻게 지나가야 message가 안전하게 전달되는지는 IP(인터넷 프로토콜)을 알아야 한다. IP (Internet Protocol) 우리가 우선 인터넷 망을 거쳐 원하는 서버로 요청(request) 또는 메시지(message)를 보내고자 하는 경우 IP 주소가 있어야 한다. 이 IP 주소는 client와 server가 모두 부여받아야 .. 2022. 11. 2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