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Back-end/java spring34

[Spring] 빈 생명주기 콜백 빈 생명주기 콜백 시작 데이터베이스 connection pool이나, 네트워크 socket처럼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필요한 연결을 미리 해두고, 애플리케이션 종료 시점에 연결을 모두 종료하는 작업을 진행하려면, 객체의 초기화 및 종료 작업이 필요하다. 이번에는 스프링을 통해 이러한 초기화 + 종료 작업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예제와 함께 정리해 보자. 예시 설명) 외부 네트워크에 미리 연결하는 객체를 하나 생성한다고 가정하자. 실제로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은 아니고 단순히 문자열을 출력하는 코드이다. NetworkClient 객체는 애플리케이션의 시작 시점에 connect() method를 호출해서 연결을 맺고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disconnect() method를 호출해서 연결을 끊는다. 이러한.. 2023. 1. 6.
[Spring] 의존관계 자동 주입 다양한 의존관계 주입 방법 의존관계 주입 방법 4가지 생성자 주입 수정자 주입(setter 주입) 필드 주입 일반 메서드 주입 생성자 주입 이름 그대로 생성자를 이용해 의존관계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앞선 개념 공부에서 사용한 코드가 생성자 주입 방식을 통한 의존관계 주입에 해당한다. 특징 생성자 호출 시점에 딱 1번만 호출되는 것이 보장된다. 불변, 필수 의존관계에 사용한다.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두 개의 추상에 의존하는 OrderServiceImpl(주문 서비스 구현체)을 예시로 들어보자. @Component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 2023. 1. 5.
[Spring] 컴포넌트 스캔 컴포넌트 스캔과 의존관계 자동 주입 시작하기 지금까지 스프링 빈을 등록할 때에는 자바 코드의 @Bean이나 XML의 등을 통해 설정 정보에 직접 등록할 스프링 빈을 나열했다. 예제에서는 몇 개가 안되었지만, 실제 구현 상황에서는 이렇게 등록해야 할 스프링 빈이 수십, 수백 개가 되면 일일이 등록하기 귀찮고, 설정 정보가 커지며 누락하는 상황도 발생 그래서 스프링은 설정 정보가 없어도 자동으로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컴포넌트 스캔이라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 의존 관계를 자동으로 주입해 주는 @Autowired라는 기능도 제공한다. 코드를 통해 컴포넌트 스캔 + 의존관계 자동 주입을 알아보자. 먼저 기존의 AppConfig.java를 남겨두고, 새로운 코드인 AutoAppConfig.java를 만든다. pac.. 2023. 1. 3.
[Spring] 싱글톤 컨테이너 개념 정리 웹 애플리케이션과 싱글톤 사실 애플리케이션은 굉장히 종류가 많다. 온라인에 대한 처리뿐만 아니라 서버의 백그라운드 데몬 같은 프로세스와 더불어 하나의 단위로 묶어 배치로 처리해주는 등 다양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한다. 그중에서도 스프링은 태생이 기업용 온라인 서비스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탄생했다. 대부분의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은 웹 애플리케이션이다. 물론 웹이 아닌 애플리케이션 개발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보통 여러 고객이 동시에 요청을 한다. 이렇게 되면, 고객의 요청이 들어올 때마다 뭔가를 계속해서 만들어내게 된다. -> 이것이 문제가 된다. 진짜 고객 요청 시마다 객체를 만드는지 테스트해 보자. 위와 같이 매번 새로운 객체가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고객의 요청이 참 많은.. 2023. 1. 2.
[Spring]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 개념 정리 스프링 컨테이너 ApplicationContext를 스프링 컨테이너라고 한다. 기존에는 개발자가 AppConfig를 사용해 직접 객체를 생성해서 DI 했지만, 스프링 컨테이너를 사용하면 스프링 컨테이너가 이 역할을 대신해 준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Configuration이 붙은 AppConfig를 설정(구성) 정보로 사용한다. 이때 이 안에서 @Bean이라는 어노테이션이 붙은 메서드를 모두 호출해서 반환된 객체를 모두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한다. 이렇게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객체를 스프링 빈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를 사용하게 되면, 기존의 AppConfig를 사용한 조회와 다르게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서 필요한 스프링 빈(객체)을 찾도록 바뀌어야 한다. 필요한 스프링 빈은 applic.. 2022. 12. 31.
IoC, DI 그리고 컨테이너 개념 정리 제어의 역전 IoC(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은 스프링에만 국한된 단어가 아니라 일반적인 개발자가 모든 것을 제어(control)하는 흐름에서 벗어나 내가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워크 같은 것이 대신 호출해 주는 구조를 의미합니다. (한 마디로 제어에 대한 권한이 뒤바뀌는 것을 의미한다고) 기존의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 구현 객체가 스스로 필요한 서버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하고 실행하는 구조를 따랐습니다. 한 마디로 구현 객체가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스스로 조종하는 구조이며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자연스러운 흐름이었죠 그런데, 지난번 DI에 대한 정리글에서 설명한 AppConfig가 의존 관계를 주입하는 등의 역할을 가져감으로써, 프로그램에 대한 제어의 흐름을 가져간 바가 .. 2022. 12. 28.
728x90